서울시, 고립은둔 청년 종합지원 ing… 차질 없이 사회복귀 준비 ‘착착’

0
27

# 평소 집 밖에 나갈 일이 없었는데 사업 참여 후에는 밖에 나와서 평소 해보지 못한 활동을 한다는 것 자체만으로 제게 활력을 가져다 주었어요. 저와 비슷한 상황에 놓여있는 청년들과 대화하며 공감도 얻고 저만 힘든 게 아니라는 생각에 안도감도 얻었어요. 앞으로 조급해말고 천천히 제 삶을 바꿔나갈 수 있을 것 같아요

(관계형성 프로그램 참여 고립청년 A)

 

# 나에게 무언가를 요구하는 프로그램들이 아니어서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었으며, 또래 친구들과의 소통과 즐거웠던 경험 덕분에 나를 표현하는 방법을 익히게 되었습니다. (예술 프로그램 참여 은둔청년 B)

 

# 다육식물도 본인이 태어난 환경을 선택하지 못했지만 꿋꿋하게 잘 자라듯이, 저도 과거를 원망하기보다 누군가를 돕기도 하고 도움 받기도 하며 기쁘게 성장할 수 있는 자신감을 얻었습니다. (원예치유 프로그램 참여 고립청년 C)

서울시는 올해 4월 25일 고립은둔 청년 종합지원대책 발표 후, 지금까지 고립감을 느끼거나 자신의 집, 방에서 나오지 않고 사회와 단절된 채 하루를 지내는 고립‧은둔 청년을 대상으로 다시 세상과 연결될 수 있도록 다양한 회복 프로그램을 활발하게 지원해 큰 성과가 있었다고 밝혔다.

고립청년이란 물리적, 정서적으로 타인과 관계망이 단절됐거나 외로움 등의 이유로 일정 기간 고립상태인 청년을 말한다. 은둔청년은 집 안에서만 지내며 일정 기간 사회와 교류를 차단하고, 최근 한 달 내 직업・구직 활동이 없는 청년을 일컫는다.

서울 고립은둔청년 종합지원대책은 ①청년이 사회로 복귀할 수 있도록 발굴부터 맞춤지원까지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체계적 청년 지원’과 ②고립은둔 청년에 대한 차별이나 무관심 대신 사회적으로 응원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사회적 관심 확산’을 골자로 추진되고 있다.

현재, 의지를 갖고 용기 내어 서울시 사업에 참여 신청한 고립은둔 청년은 총 1,078명으로, 이후 자가진단과 상담을 거쳐, 실제 프로그램을 지원받고 있는 인원은 9.12일 기준 502명에 해당한다.

 

이외 대기 중인 청년 328명이 현재 상태검사와 전문상담을 진행 중이며 프로그램 제공 기간이 최소 3개월가량 소요되는 점을 감안해, 사업 신청은 9.15일 마감했다. 다만, 신청 마감 이후에도 발굴된 청년에 대해서는 ‘23년 서울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을 우선 연계하고 별도 대상관리를 통해 내년도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 체계적·전방위적 발굴체계 가동 후 정밀한 진단과 유형분류까지 >

서울시는 우선, 본인이 신청한 고립은둔 청년 외에도 도움이 필요하지만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청년을 찾아내기 위해, 여러 기관과 협력해 촘촘한 발굴체계를 구축‧운영하고 있다.▴복지전달체계 ▴동주민센터, 통반장 등 지역사회 네트워크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서울청년센터 등 청소년‧청년 기관 등과 연계해 고립은둔 당사자를 적극 발굴하고, 가족‧지인도 상시 상담·의뢰할 수 있도록 상담센터도 운영 중이다.

가령, 복지사각지대 조사상담 과정에서 고립은둔 청년 대상 여부가 확인되면, 사업안내와 연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동주민센터, 통반장, 주민자치회 등과 네트워크를 구성, 발로 뛰는 발굴 활동도 진행 중이다.

또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에서 상담 중인 후기 청소년(만19~만24세) 중 고립은둔 해소를 위해 추가 심층상담과 프로그램 개입이 필요할 경우 서울시 고립은둔 청년 지원사업으로 연계한다.

특히 상담센터를 통해 가족지인들도 상시 상담받을 수 있도록 하여 고민을 덜어주고 있으며, 4월부터 현재 688건의 전화상담을 진행하였다.

한편 이러한 발굴체계 운영을 통해, 기관의뢰 및 소개, 가족‧지인 소개로 사업에 신청하거나 유입된 청년은 약 21.2%(228명)에 이른다.

발굴된 청년은 서울시가 개발한 청년 사회적 고립 척도와 일대일 면담을 거쳐, 3가지 유형(활동형 고립청년, 활동제한형 고립청년, 은둔청년)으로 분류되며, 각 유형과 개인의 성향까지 고려한 특화 프로그램을 제공 받고 있다.

’23.9월 현재 기준, 활동형 고립청년 165명, 활동제한형 고립청년 226명, 은둔청년 111명에게 맞춤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출처 : 미래청년기획단 청년사업반

회신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